본문 바로가기
크레스티드게코 정보글

크레스티드게코 모프 알아보기 1편

by 빵빵삼촌 2023. 11. 13.

안녕하세요

빵빵 삼촌 입니다.

크레스티드게코

개체를 처음 키우시거나

예뻐서 데리고 오게 되었는데

우리집 크레가 어떤 모프를 가지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라면

많이~ 당황스럽겠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우리집에 있는 크레스티드게코 모프

알아보기 아무래도 내가 키우는

크레가 어떤 모프인지 알고 있으면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되겠죠?

자 그러면 입문자 분들의 눈높이의

맞추어서 하나씩 설명을 드릴께요

모프 = Morph

영어로 하면 Morph 가 되는데요

이 모프란 무엇 일까요?

 

유전자의 발현으로 나온 표현형 즉

이것은 크레의 외관으로 표현되는 모습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진 속 Back / Dorsal 이 보이시죠

이 Back/Dorsal 은 보통 도살이라고 부르며

사람으로 따지면 등쪽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음 으로 사진에 보이는 것은

Upper / Lower Lateral 입니다.

바로 흔히 모프를 따질 때 가장 많이 보는

레터럴 이며 레터럴은 옆구리 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레터럴을 나누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누는 이유는 할리퀸,익스트림할리퀸 등

각 개체가 가진 레터럴 모습에 따라 모프로

설명이 되기 때문입니다.

사진 속 Limbs 의 경우 팔/다리 쪽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 까지는 이해가 되셨죠?

크레스티드게코 는 환경에 따라 외관상

색깔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이어업/다운 을 이야기 하며

카멜레온 처럼 주변색을 따라 변하지는

않습니다.

 

 

 

평소보다 습도에 맞추어 혹은 스트레스

혹은 활동에 따라서 발현되는 색상이

평소 색상보다 진할수 있게 되거나,

아예 다른 색으로 변한듯 보일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자 이제 크레스티드게코 기본 모프들의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모프 중 기본이면서도 이쁘다는

패턴리스 부터 시작하겠습니다~

 

패턴리스

 

솔리드

 

솔리드 또는 패턴리스는 정확한 패턴이 없는

크레스티드게코 친구들을 말합니다.

뒷다리, 뒷편에 약간의 색상이 있을 수 있고

레터럴에 희미한 세로 줄이 보일수도 있습니다.

 

벅스킨 브라운,올리브 혹은 레드,노란색,진한 갈색

또는 검정, 크림색까지 색상은 다양합니다.

 

바이컬러

바이컬러는 기본적으로 2가지색상을 가지고

있는 크레스티드게코 친구들 입니다.

도살과 레터럴의 색상의 차이가 있으며

패턴리스와 비슷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타이거

타이거는 마치 호랑이의 무늬처럼 도살 앞쪽에서

뒤쪽까지 이어져 있는 크레스티드게코 친구들 입니다

사진 속 동그라미 를 보시면

무늬가 아래(레터럴)까지

내려가 있는 것이 보입니다.

이 모프는 무채색 및 바이컬러와 비슷하게

여러 색상으로 나타나지만 대체로는

갈색과 베이지색이 자주 볼수 있는 색상입니다.

 

브린들

 

타이거 모프와 가장 유사하지만 자세히 보면

다른 점을 느낄수 있는 브린들

몸 전체의 패턴이 약간 부서져 있거나 불규칙

적으로 보이는 모프이며, 등

무늬가 레터럴 까지 내려가지 않으면

대체적으로 브린들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플레임

 

바이컬러와 굉장히 흡사하지만 크레의 등쪽에

더 밝게 보이는 색상을 가지고 있는 모프 입니다.

추가적으로 플레임과 바이컬러의 큰 차이점은

두번쨰 색상이 더 가볍고 밝아진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여러가지 색상으로 다양한

모프 조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플레임만의 독특한 패턴이 나타나고 V자

모양의 패턴이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할리퀸

 

할리퀸은 플레임과 비슷해 보이나, 더 많은

패턴을 가진 모프 입니다. 크레스티드게코

에서는 가장 흔하면서도 인기가 많은 모프 중

하나이며, 레터럴과 다리를 따라 더 많은

패턴을 보입니다.

할리퀸은 오랜지색,노란색,색조를 나타내는

빨강,크림 등의 트라이 색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익스트림 할리퀸

익스트림 할리퀸은 할리퀸보다도 더 많은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레터럴의 약 50% 이상이 패턴으로 들어가

있으며, 익스트림 할리퀸은 일반적으로 도살과

레터럴의 끝에서 끝까지 이어져 있는 경우도

볼수 있습니다.

 

 

익할들은 대부분 프린지니캡

화려한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핀스트라이프

핀스트라이프 는 모프 또는 구조적 특성

으로 현재까지도 구분의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크레스티드게코 는 신체 구조에

돌기(볏) 이 있습니다. 유관으로 보여졌을 때

볏은 머리부터 등판까지 이어져 있는

것을 말하며, 이 돌기는 크레스티드게코의

트레이드마크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돌기는 사실 잠재적 포식자로 부터

굉장히 맛 없는 먹이로 인식하게 끔

진화가 되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모프 구성 및, 특성을 나타날때

구분을 짓게 되는 돌기는 때때로

끊어져 있는 돌기(볏) 상태를 보고서

핀이 끊겼다고 하여 핀스트라이프 로

나누기도 하고, 꽉 차있는 경우

두줄인 경우엔 슈퍼핀, 핀이 안끊기게

쭉 있는 경우엔 풀핀, 거기서 1개가 빠지면

99핀 등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슈퍼핀

풀핀은 돌기(볏) 가 쭉 이어져 끊기지

않는 상태 를 풀핀 이라고 합니다.

 

풀핀

 

​99핀스트라이프

 

여러 모프들의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어떻게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

보는 사람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보여질 수 있는 모프는 사실 많은 사람들의

논쟁이 될수 있는 부분 중 하나이기에

예민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내가 키우는 크레스티드게코 모프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이 아무래도 좋겠죠?

다음 포스팅 에서는 기본 모프 외의

더욱 신기한 모프를 가진

크레스티드게코 친구들을 위주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크레스티드게코 모프 2편으로 찾아올게요~

크레스티드게코 모프 2편에서는

최근 신모프와, 보기 드문 모프들의 설명까지

함께 다루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빵빵삼촌 티스토리를 구독해주세요!

구독 꾹!